본문 바로가기

PM의 일

프로덕트 매니저가 하는 일

프로덕트 매니저가 하는 일

 

  프로덕트 매니저가 하는 일은 하나의 서비스를 설계부터 구현, 관리하는 것까지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일을 아우른다. 중요한 건, 어느 단계의 일이건 PM의 결정은 비즈니스 목표, 사용자 관점, 개발 비용을 모두 고려한 최적의 결과여야 한다는 점이다. 예컨대, 고객을 위한다고 수익 구조를 전부 포기할 수는 없다. 비즈니스의 궁극적 목적은 이익 창출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고객을 등한시해서도 안된다. 결국 돈이 나오는 곳도 고객이기 때문이다. 고객을 중시하지 않는 기업은 망하는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다. 또한, 개발 환경과 비용도 고려해야 한다. 무리하게 추진했다가 기한을 못 지키고, 구현 못하는 건 둘째 치고, 서비스와 서버 전체가 불안정해질 수도 있다.

 

  따라서 기획자는 회사가 무엇으로 어떻게 돈을 버는지 시스템을 제대로 꿰뚫어 봐야 한다. 서비스 유저와 고객이 무엇을 불편해하고 필요로 하는지도 파악해야 한다. 개발 공수가 어느 정도 들 지에 대한 지식과 감도 어느 정도 요구된다. 그렇기에 PM은 개발자, UX/UI 디자이너, 마케팅 현업자 직무처럼 어느 정도 각자의 고유한 목표를 가진 역할과는 조금 다르다. PM은 나무라는 목표보다는 숲 전체를 바라 봐야하기 때문이다. 숲을 바라보며 서비스의 정책과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나무들이 각자의 목표를 잘 도달할 수 있도록 소통하고 조율해 이끌어 나가서 결국에는 구축까지 완성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PM은 프로젝트 전체 일정과 자원을 관리하고 책임지는 일을 한다.   

 

  PM이 하는 일 중에서도 새로운 서비스를 런칭하는 단계의 주요 업무는 아마 비즈니스 모델을 설정하는 일이지 않을까. 비즈니스 모델이란 어떤 제품과 서비스로 어떻게 고객에게 가치를 줄 수 있을 지, 그리고 이를 통해 어떻게 돈을 벌 것인지를 정리한 아이디어다. 이를 결정하기 위해서 PM은 가격, 유통 채널, 경쟁사 분석, 법이나 문화적 요소 등 비즈니스 환경 모두를 고려해 시장 규모 및 가능성을 파악하는 일을 한다.  

 

  PM은 또한 유저 경험(UX)을 분석하는 일을 한다. 이는 정량, 정성 분석을 통해 가능하다. 그래도 보통은 정성 조사보다는 정량 조사를 많이 할 것 같다. 정성 조사는 주로 사용자의 행동을 관찰하는 쉐도잉 방법을 이용한다고 하는데,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어서 정말 큰 프로젝트가 아니고는 하기 어려울 것 같다. 반면, 정량 분석은 데이터 분석이다. GA나 태블로 등 BI 툴을 이용해 트래픽, 리텐션율을 확인하고, 어떤 설계일 때 어떤 고객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분석하는 것 같다.   

  수익구조도 있고, 유저 경험도 분석했다면, PM은 서비스를 설계 한다(딱히 이 순서대로 일을 할 것 같지는 않지만..). 아마 서비스 설계가 실제 PM이 하는 대부분의 업무를 차지하지 않을까. 마인드맵, 순서도, IA(이게 뭔지는 정확히 모르겠다..)을 통해 서비스 전략과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와이어프레임,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UI를 설계한다. 그리고 원하는 서비스를 협업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기획자의 최종 산출물인 화면설계서를 작성한다.   

 

  설계를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 PM은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소통을 주도한다. 제대로 된 소통과 협업을 통해서만 기획자가 의도한 대로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때 소통은 최종 기획 단계에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아이디어 단계부터 이뤄지며, 구현 가능성을 계속 염두하고 수정을 거치게 된다

'PM의 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자일과 워터폴  (0) 2020.10.07
Product Market fit  (0) 2020.09.18
W2 전략과 고객  (0) 2020.09.15
나는 왜 PM이 되고 싶을까  (0) 2020.09.07
함께 일하는 건 왜 어려울까?  (0) 2020.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