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M의 일

(19)
전략이란? 사업 전략과 프로덕트 전략은 어떻게 다를까? 전략은 뭘까? 전략의 한/영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니 전쟁에서 파생된 단어라는 걸 알았다. 그래서 전쟁에 대입해 전략의 의미를 고민해 보았다. 전쟁에는 뭐가 있을까? 일단 싸워서 이긴다는 뚜렷한 목표가 있다. 또, 나도 있고 싸워서 이겨야 하는 상대방도 있다. 그리고 대포도 있고, 병사도 있고 식량도 있다. 이를 일반적인 상황의 전략에 대응해 본다면, 전략은 승리처럼 명확하고 중요한 목표를 찾는 일이고, 나도 알고 상대방도 아는 일이고, 이에 기반해 자신이 가용할 수 있는 자원과 기술, 역량을 어디에 어떻게 할당할지 결정하는 일이다. 그렇다면 회사의 전략과 프로덕트 전략의 차이는 무엇일까? 사업은 수익 창출을 위한 상품과 서비스를 사고 파는 일련의 경영 활동을 의미한다. 반면 프로덕트는 고객/사용자가 원하..
함께 일하는 건 왜 어려울까? 현재 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다양한 자연어/텍스트 콘텐츠를 만드는 팀의 콘텐츠 기획자 역할을 맡고 있다. 팀의 첫 프로젝트는 “인공지능으로 MBTI 유형별 가사 만들기”로, 나는 서비스의 컨셉과 시나리오를 기획을 담당한다. 팀 구성이 꽤나 다양하지만, 나는 주로 인공지능 모델팀, 프론트엔드팀,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와 소통을 하는 편이다. 그리고 챠가운 개발자, 바쁜 디자이너, 해맑은 팀대표와 함께 일하며, 어려운 점도 많고, 혼자 삽질한 적도 많다(현재진행형..ing..). 그 중에서도 기억에 남는 경험을 꼽아 구체적으로 작성해 보았다. 처음부터 모델 개발팀과 서비스 결과물을 조정하는 과정이 가장 어려웠다. 일단 팀 대표는 인공지능 덕후였다. 직접 개발/적용한 모델이 너무나도 신기하고 재미있기 때문에..
프로덕트 매니저가 하는 일 프로덕트 매니저가 하는 일 프로덕트 매니저가 하는 일은 하나의 서비스를 설계부터 구현, 관리하는 것까지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일을 아우른다. 중요한 건, 어느 단계의 일이건 PM의 결정은 비즈니스 목표, 사용자 관점, 개발 비용을 모두 고려한 최적의 결과여야 한다는 점이다. 예컨대, 고객을 위한다고 수익 구조를 전부 포기할 수는 없다. 비즈니스의 궁극적 목적은 이익 창출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고객을 등한시해서도 안된다. 결국 돈이 나오는 곳도 고객이기 때문이다. 고객을 중시하지 않는 기업은 망하는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다. 또한, 개발 환경과 비용도 고려해야 한다. 무리하게 추진했다가 기한을 못 지키고, 구현 못하는 건 둘째 치고, 서비스와 서버 전체가 불안정해질 수도 있다. 따라서 기획자는 회사가 무..